안녕하세요. 테이블링입니다.
오늘은 이전 포스팅 제품 판매량 상승의 실사례’에 이어서 웨이팅광고에 송출된 광고의
제품 판매량에 따른 점유율 상승을 고려하여 웨이팅광고가 어느 정도의 효과로 이어졌는지 소개하려 합니다.
이전 포스팅을 아직 확인하지 못하셨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확인해보세요!
☞ https://blog.naver.com/mealant/221936040897☜
실제 제휴 매장에서 광고 송출된 제품의 점유율 / 매출 상승
테이블링 제휴 매장 4곳 모두 실제 송출되는 광고(카스) 제품이 매장에서 구매로 이어졌으며, 광고 제품의 점유율 또한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4개 매장의 점유율 평균은 54.9%로 절반 이상 해당 광고 제품을 구입하는 고객이 많았는데요, 그럼 각 매장별로 광고 송출 전과 광고 송출 후 얼마큼 차이가 발생했는지 알아볼까요?
- 브랜드 홍보 효과와 그에 따른 매출액 증가 측정을 위해 제휴 매장을 선정하여 실제 광고 제품 판매량과 점유율을 측정
광고 미송출 기간 대비 광고 송출 후 16개 판매량 증가 / 전주 대비 카스 점유율 20% 상승
- 브랜드 홍보 효과와 그에 따른 매출액 증가 측정을 위해 제휴 매장을 선정하여 실제 광고 제품 판매량과 점유율을 측정
광고 미송출 기간 대비 광고 송출 후 23개 판매량 증가 / 전주 대비 카스 점유율 31.25% 상승
- 브랜드 홍보 효과와 그에 따른 매출액 증가 측정을 위해 제휴 매장을 선정하여 실제 광고 제품 판매량과 점유율을 측정
광고 미송출 기간 대비 광고 송출 후 114개 판매량 증가 / 전주 대비 카스 점유율 32.65% 상승
- 브랜드 홍보 효과와 그에 따른 매출액 증가 측정을 위해 제휴 매장을 선정하여 실제 광고 제품 판매량과 점유율을 측정
광고 미송출 기간 대비 광고 송출 후 67개 판매량 증가 / 전주 대비 카스 점유율 135.7% 상승
* 위 데이터는 동일 기간 동안 측정하였으며, 실제 매장에서 받은 매출 자료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작되었습니다.
* 광고 미송출 기간 20.03.23~29, 광고 송출 기간 20.03.30~04.05
테이블링 웨이팅광고 효과 측정 결과
해당 4개 매장의 주 당 평균 55개 이상 판매가 이루어졌으며, 점유율은 평균 54.9% 상승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달 매출액으로 가정한다면?
한 달 매출액으로 가정한다면?
2,100(원) X 55(개) X 4(주) X 1,000개(제휴매장) = 462,000,000원
(*카스 1병 당 출고가 2,100원으로 산정 시)
테이블링 웨이팅광고에 광고 송출 시 평균 55.2분의 웨이팅 고객 100만 명에게 브랜드 홍보 효과와 방문객 약 300만 명에게 추가로 브랜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 사례에서도 나타나듯이 부가적이라고 말하기에는 너무 큰 462,000,000원의 판매 효과까지 이루어졌습니다.
브랜드 홍보 효과와 실제 구매까지 한 번에 이루어지는
갓성비 테이블링 웨이팅광고와 함께하세요!
테이블링 옥외광고 플랫폼 입점 문의 및 기타 문의사항은 대표번호 02-552-9045 또는 1899-9195,
메일 (biz@mealant.com), 제휴 문의 사이트 (https://ad.tabling.co.kr/)를 통해 문의하시면
신속한 답변과 친절한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광고 문의를 하실 수 있습니다 :) *
테이블링 웨이팅 광고
세상에 없던 광고 플랫폼! 월평균 100만 명의 55.2분을 사로잡을 기회, 테이블링 웨이팅 광고로 누려보세요!
ad.tabling.co.kr
[광고제휴] 언택트 소비 증가에 따른 테이블링 사용자 증가 (0) | 2020.05.21 |
---|---|
[광고제휴] 고객 참여형 이벤트 결과로 알 수 있는 웨이팅광고 타겟층 분석 (0) | 2020.05.15 |
[광고제휴] 웨이팅광고에 송출된 광고, 제품 판매량 상승과 브랜드 홍보 효과까지! 실사례를 소개합니다. (0) | 2020.04.29 |
[광고제휴] 오프라인 광고인데 타겟팅까지 가능하다?! (0) | 2020.04.24 |
[광고제휴] 2030 여성 소비자를 사로잡고 싶다면? 테이블링 웨이팅광고! (0) | 2020.04.22 |
댓글 영역